본문 바로가기
소식

울산 병원 병실서 술 마시고, 의사에게 맥주 뿌리고...막무가내 50대 남성 징역 1년 4개월 선고, 미용실·음식점서 난동까지

by kindtree 2024. 10. 20.

울산에서 50대 남성이 여러 차례 난동을 부려 결국 징역 1년 4개월을 선고받았어요. 이 남성은 특수폭행 등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고, 법원은 그에게 스토킹 재범 예방 강의 40시간 이수 명령까지 내렸다고 해요. 이 사건은 올해 3월, 울산의 한 병원에서 시작됐어요. A씨는 병원에 입원해 있었는데, 병원 규칙을 어기고 무단으로 외출하는가 하면, 병실에서 술까지 마셨대요. 이 상황을 본 담당 의사가 규칙을 지키지 않으면 퇴원하라고 하니까, A씨는 갑자기 욕설을 퍼부었어요. 그리고 플라스틱병을 침대의 철제봉에 내리쳐서 깨뜨린 다음, 그 깨진 병을 의사의 얼굴 앞에 들이밀면서 "친구들을 불러서 병원을 망하게 하겠다"며 협박을 했죠. 거기서 끝난 게 아니라, 마시던 맥주를 의사의 얼굴과 가슴에 뿌리기까지 했어요.

 

 

그 후에도 A씨의 난동은 멈추지 않았어요. 4월 어느 저녁에는 울산의 한 미용실에 갑자기 들어가서, 아무 이유 없이 손님의 뺨을 때리고, 유리잔을 던지며 20분 동안 행패를 부렸어요. 게다가 손님에게 헤어스프레이를 뿌리고 불까지 붙이려 했다고 하니, 얼마나 심각한 상황이었는지 상상이 되죠.

 

그리고 이런 일이 있을 때마다 신고를 받은 경찰관들이 출동했는데, A씨는 경찰관들에게도 발길질하며 폭행했어요.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A씨는 식당 안에서 담배를 피우거나, 종업원에게 시비를 걸기도 했고, 도로에서는 보복 운전까지 했어요. 주점에서는 집기를 부수고, 여사장을 스토킹하는 등 여러 사람을 괴롭히는 행동을 계속했죠.

 

심지어 술에 취한 상태에서 10대 조카의 머리를 때려 다치게 하는 일도 벌어졌어요. 피해를 본 사람들이 한두 명이 아니었고, 다들 엄청난 공포와 불편을 겪었을 거예요.

 

결국 법원은 A씨에게 징역형을 선고하면서, "피고인은 다수의 사람을 상대로 범행을 저질렀고, 현행범으로 체포되고도 다시 범행을 저질렀다"며, "상당수의 피해자들이 여전히 피고인을 용서하지 않고 있다"고 판단했어요. 여러 차례의 범행에 비춰볼 때, 피해자들의 고통과 두려움을 고려해 실형을 선고할 수밖에 없었던 거죠.

 

이번 사건은 술에 취한 상태에서 벌어진 범죄라는 점에서 안타까움을 자아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에게 끼친 피해는 결코 가볍지 않아요. 술에 취했다고 해서 저지른 행동들이 용서받을 수 있는 건 아니고, 그로 인해 타인에게 큰 피해를 입혔다는 사실을 분명히 해야 해요.

 

또한, A씨는 반복적으로 법을 어기고 폭력을 행사했기 때문에, 이런 재범을 막기 위한 조치도 필요하다고 봐요. 그래서 법원은 징역형 외에도 스토킹 재범 예방 강의 40시간을 이수하라고 명령한 거죠. 이는 단순히 범행을 처벌하는 것뿐만 아니라, 피고인이 다시는 같은 범행을 저지르지 않도록 교육적인 조치를 통해 재범 방지를 도모하려는 의도예요.

 

이처럼 한 사람이 벌인 난동이 주위 사람들에게 얼마나 큰 피해를 줄 수 있는지, 이번 사건을 통해 알 수 있어요. 특히 공공장소에서의 폭력은 그 자리에서 겪는 사람들에게는 일종의 트라우마로 남을 수도 있죠. 이러한 점에서 사회 전반적으로 술에 의한 폭력과 무질서한 행동에 대해 더 엄격한 처벌과 예방책이 필요하지 않나 생각하게 돼요.

 

또한 이번 사건을 보면서 재범 방지의 중요성도 다시 한 번 깨닫게 돼요. A씨처럼 반복적으로 법을 어기고 폭력을 행사하는 사람들에게는 단순한 처벌만으로는 부족할 수 있어요. 이들이 다시 범행을 저지르지 않도록 사회적, 심리적 도움과 교육이 필요하죠. 그래야만 범죄를 예방하고, 더 안전한 사회를 만들 수 있을 거예요.

 

마지막으로, 피해자들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면, 그들이 받은 상처와 공포는 쉽게 치유되지 않을 거예요. A씨가 어떤 이유에서든 폭력을 행사했든 간에, 피해자들의 고통은 오랫동안 남을 수밖에 없어요. 이런 상황에서 사회는 피해자들이 받을 수 있는 보호와 지원에도 신경을 써야 하고, 피해자들이 다시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돕는 체계가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법원의 처벌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피해자들의 정신적, 심리적 회복을 위한 지원도 중요하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할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