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식

500억 '장사의 신' 은현장 "프로그램 써서 댓글·조회수 올렸다"

by kindtree 2024. 2. 2.
500억 '장사의 신' 은현장 "프로그램 써서 댓글·조회수 올렸다"

 

128만 구독자를 보유한 유명 유튜버 ‘장사의 신’ 은현장(40)씨가 유튜브 중단을 알린 뒤 최근 잇따라 불거진 논란에 대해 입장을 밝혔습니다.

 

은씨는 1일 유튜브 커뮤니티에 올린 글에서 “유튜브 중단 선언 후 제 몇 년 치의 과거를 돌아보며 많은 분이 궁금해하시는 것들에 대한 증거를 모아가고 증거뿐만 아니라 제가 살면서 잘못한 것들에 대해서도 최대한 솔직하게 알려드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시작했습니다.

 

그는 “증거수집작업을 촬영과 병행하기가 버거워서 유튜브 운영을 중단하고 모든 게 다 정리가 되면 돌아가겠다고 말씀드린 것”이라며 “지금껏 이렇게 말로 하거나 캡처본을 보여드려도 믿지 못하시는 분들이 있으니 곧 영상으로 보여드리겠다”고 적었습니다.

 

은씨는 자신이 운영 중인 네이버 카페를 언급하며 “많은 분이 문제를 제기해 주셨던 제 브이로그 영상 속 컴퓨터화면은 카페회원들이 쓴 글에 달린 댓글 수를 크롤링해서 수치와 순위로 표현해 주는 프로그램”이라며 “그 집계를 통해 회원들에게 보상을 해주려고 했고, 네이버 쪽에서도 승인해줬다. 이에 대한 자료, 모자이크 해제한 화면도 해명 영상에서 보여드리겠다”고 누리꾼들이 의혹을 제기한 부분에 대해 해명했습니다.

 

또한, “네이버 카페 운영에 대해 사죄드릴 것이 있다”며 “2022년 8월 경 네이버 카페를 만들었고, 카페를 활성화 시키기 위해서 많은 것들을 시도했다”고 말했습니다.

 

은씨는 지인의 소개로 자동으로 댓글을 달아주고 조회수를 올려주는 자동관리 프로그램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며 “공인받은 전문가 플랫폼에서 개발자에게 의뢰해 만드는 프로그램이라 큰 문제가 없을 것이라 생각하고 사용했다”고 고백했습니다.

 

그는 광고글이나 회원들의 글에 조회수를 10~15, 많을 때는 몇백씩 올렸으나 문제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중지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은씨는 “광고주님들과 전부 단톡방으로 소통하고 있으니, 원하시는 분들께 원하시는 형태로 보상해 드리겠다. 모르고 했던, 지금은 하고 있지 않던 이 부분에 대해서 인정하고 진심으로 사죄드린다. 정말 죄송하다”고 사과했습니다.

 

은현장은 20대에 자본금 3000만원으로 시작한 치킨 프랜차이즈를 200억원에 매각한 인물로, 2021년 자서전 ‘나는 장사의 신이다’를 발간해 화제를 모았습니다. 또 유튜브를 통해 현재 어려움을 겪는 자영업자들을 돕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습니다. 한 방송에서 ‘500억대 성공신화를 쓴 자영업자’로 소개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은씨가 밝힌 치킨 프랜차이즈 매각 금액과 실제 매각 금액에 차이가 있다는 주장이 나왔고, 또 지난해 주가조작 및 배임 혐의로 구속된 원영식 회장의 초록뱀미디어 계열사 중 은씨가 매각한 브랜드가 속해 있어 주가조작에 연루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습니다.

 

이에 은씨는 “매각 대금을 한 번에 받은 게 아니지만 200억원을 받은 게 맞다”며 계좌 입금 내역을 공개하고, 초록뱀미디어와 관련해선 “관련이 있다면 어떤 처벌도 달게 받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악플이 계속되자 은씨는 지난 29일 유튜브 중단을 선언했습니다. 그는 “내일부터 모든 걸 제쳐두고 악플러들을 잡으러 다니겠다”며 “(악플러에게) 손해배상 청구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피해를 보았는지 증명해야 한다. 제가 방송 안 하고 수익이 없으면 이걸로 증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또 “그 사람들이 다시 일어나지 못하게 하겠다. 비용은 감당할 수 없을 수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은현장 씨는 자신의 과거를 돌아보고, 의혹에 대한 증거 수집과 해명을 위해 유튜브 활동을 잠시 중단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러한 결정은 그가 직면한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하려는 의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은현장 씨가 언급한 네이버 카페 운영 및 자동관리 프로그램 사용에 대한 해명은 디지털 플랫폼에서의 윤리적 관리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운영에서 투명성과 정직성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사용자들의 신뢰를 얻기 위해서는 이러한 원칙이 철저히 지켜져야 합니다. 은현장 씨의 경우처럼, 초기에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생각했던 행동이 나중에 큰 논란의 소지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또한, 은현장 씨가 경험한 악플과 관련된 문제는 현대 사회에서 디지털 플랫폼을 사용하는 모든 개인과 기업이 직면할 수 있는 어려움을 상기시킵니다. 인터넷 상의 익명성은 때때로 부정적인 행동을 부추기며, 이러한 행동이 개인의 명예와 정신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은현장 씨의 결정은 악플에 대한 법적 대응의 필요성과 이를 통해 소셜 미디어 환경을 개선하려는 노력을 반영합니다.

 

자신의 경험을 공개적으로 해명하고 문제를 해결하려는 은현장 씨의 접근 방식은 공인으로서 책임감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이는 공공의 이목이 집중된 인물이 자신의 행동에 대해 책임을 지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사회적 기대를 반영합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은현장 씨가 겪는 스트레스와 압박은 개인이 짊어져야 할 부담이 매우 크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최종적으로, 이 사례는 온라인 커뮤니티와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 활동하는 모든 이들에게 중요한 교훈을 제공합니다. 디지털 시대에는 개인의 행동과 발언이 즉각적으로 대중의 시선에 노출되며, 이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투명성, 책임감, 그리고 윤리적 기준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